증권사 보고서

트럼프 관세 Tracker (3) - 2025년 3월 5일 경제 분석 (신한투자증권)

경희대생 2025. 3. 5. 14:53

< 김찬희, 하건형 Economist >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무역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2025년 3월 4일(현지 시간)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산 모든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가 부과되었으며,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는 예외적으로 10% 관세가 적용되었습니다. 또한,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지난 2월 4일 10% 추가 관세 이후, 추가로 10%의 관세가 부과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금융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각국의 대응 조치

캐나다

캐나다는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한 보복으로 두 단계에 걸쳐 대응하고 있습니다.

  1. 3월 4일부터: 가전제품, 의류, 화장품, 와인, 오렌지주스, 땅콩버터 등 약 30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25% 관세 부과.
  2. 3월 25일까지: 자동차, 트럭, 철강, 알루미늄, 소고기 등 1,250억 캐나다 달러 규모의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 부과 예정.

중국

중국도 강경한 대응책을 내놓았습니다.

  • 3월 10일부터: 농축수산물 및 식품(대두, 돼지고기, 수산물 등)에 대해 10~15%의 관세 부과.
  • 미국 방산업체 10곳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리스트에 추가하고, 교역 및 신규 투자 금지 조치 시행.
  • 미국 방산업체 15개사에 대해 핵심 광물 수출 통제(안티몬 48%, 갈륨 98%, 게르마늄 59% 점유율 보유).

멕시코

멕시코는 강경 대응을 예고했으나 아직 구체적인 조치는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관세 불확실성 지속 가능성

적어도 2025년 4월까지는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추가 조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3월 12일: 철강 및 알루미늄에 대한 추가 관세 예정.
  • 4월 2일: 상호 관세 부과 가능성.
  • 미정: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농산물, EU 대상 관세, 구리 및 목재 관세 조사 진행 중.
  • 환율 조작국 지정 가능성: 미국 재무부는 4월까지 환율조작국 지정과 관련된 정책 권고안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음.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미국의 관세 정책이 한국 경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1. 자동차 및 전자제품 수출 타격: 캐나다 및 멕시코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피해를 볼 가능성이 큼.
  2. 반도체 및 중간재 수출 영향: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 제품들이 부분적으로 타격을 받을 가능성 존재.
  3.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기존 쿼터제로 인해 직접적인 피해는 제한적이나, 추가 관세 부과 시 영향을 받을 가능성 있음.
  4. 향후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 포함되어 있어 피해 규모 확대 가능성 존재.

결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글로벌 무역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습니다. 캐나다, 멕시코, 중국 등의 보복 관세 조치로 인해 미국과의 무역 관계가 더욱 복잡해지고 있으며, 한국 역시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앞으로도 관세 관련 정책 변화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대응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