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개념

연준의 재무제표 ( Federal Reserve's Balance Sheet)

경희대생 2025. 3. 25. 17:43

 

1. 자산 (Assets)

자산 항목은 기본적으로 연준이 보유하고 있는 “돈을 빌려준 경우”나 “증권을 보유하여 이자 수익을 받는 경우” 등, 미래에 수익을 얻거나 가치가 보존되는 항목을 의미합니다.

보유 증권 (Securities held outright) 미국 국채, 이표채(Notes & Bonds), MBS 등 연준이 직접 보유하는 증권으로, 이자수익 발생 및 양적 완화/긴축 정책의 주요 대상입니다.
대출 (Loans) 은행 및 기타 금융기관에 제공한 단기/중기 대출 금융시장의 유동성 지원 및 단기 자금 조달 역할을 합니다.
기타 자산 (Other assets) 외환 보유액, 금, SDR, 중앙은행 간 스와프 등 금융시장 안정과 국제 거래 지원 등 다양한 비정기적 자산을 포함합니다.

자산 항목은 기본적으로 “돈을 빌려준 경우”(대출), “증권을 보유하는 경우”(보유 증권)와 같이 미래의 이자 수익이나 자산가치 상승을 기대하는 항목으로 구성됩니다.


2. 부채 및 자본 (Liabilities & Capital)

부채 항목은 연준이 외부로부터 자금을 “빌린 경우”나 “증권을 제공하여 자금을 조달한 경우”, “이자 지급 의무가 있는 경우” 등을 포함합니다.

준비금 (Reserve Balances) 상업은행들이 연준에 예치한 자금 은행 간 결제 및 단기 유동성 관리를 위한 핵심 자산입니다. 준비금 감소는 금융시스템 내 단기 유동성 축소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TGA (Treasury General Account) 미국 재무부가 연준에 보유한 계좌 잔액 정부의 현금 운용(세입·세출 관리)에 사용되며, TGA 감소는 정부 지출 확대 혹은 현금 유입으로 시장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RRP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연준과 금융기관 간 단기 자금 흡수 계약 (담보로 채권 제공) RRP 잔고가 줄어들면 금융기관이 보유한 자금이 시장에 재유입되어 단기 유동성 증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기타 부채 (Other Liabilities) 연방준비은행 지폐, 외국 기관 예금 등 전체 부채 구조를 보완하며, 다양한 단기/장기 금융자산 관리에 기여합니다.
자본 (Capital) 납입자본, 잉여금 등 연준의 자기자본으로, 대차대조표의 안정성을 나타내며, 기관의 신뢰도와 재무 건전성을 반영합니다.

부채 항목은 “돈을 빌린 경우”(준비금, RRP, TGA 등) 또는 “증권을 제공하여 자금을 조달한 경우”에 해당하며, 이자 지급 의무가 수반되는 특성을 갖습니다.


 

연준 대차대조표의 주요 자산 및 부채 항목들의 상승 & 하락의 의미?

 

1. 자산 (Assets)

                                                                                         
   항목상승(증가) 시 의미  하락(감소) 시 의미
보유 증권 (Securities held outright) - 양적 완화(QE) 시 채권 매입을 통해 자산을 늘리며,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
- 금융시장 안정 및 저금리 환경 조성
- 만기 채권의 원금 상환 후 재투자 중단 또는 매각을 통해 자산 축소
- 양적 긴축(QT) 효과로 시중에 풀린 유동성이 흡수되어 금융시장 긴축 신호
대출 (Loans) - 연준이 금융기관에 추가 자금 지원 시, 단기 유동성 보강 및 금융시스템 안정성 강화
- 위기 상황에서 대출 확대는 시장 신뢰 회복에 기여
- 금융기관에 대한 대출 축소는 단기 유동성 공급 감소를 의미
- 금융시장 위험이 낮아졌거나 자발적인 시장 회복 신호일 수 있음
기타 자산 (Other assets) - 외환, 금, SDR 등 다양한 자산 보유 확대는 포트폴리오 다각화 및 위험 분산 노력
- 국제 거래 및 금융시장 안정성 지원
- 비핵심 자산 매각이나 구조조정을 통한 자산 효율화
- 보유 자산 축소가 반드시 시장 불안으로 연결되지는 않으나, 자산 구조 변화 신호

2. 부채 및 자본 (Liabilities & Capital)


 

  항목상승(증가) 시 의미 하락(감소) 시 의미
준비금 (Reserve Balances) - 은행들이 연준에 예치한 자금 증가 → 금융기관의 유동성 여유 증가
- 단기 결제 및 대출 여력이 확대되어 금융시장 안정에 긍정적
- 은행들이 보유하는 초과 유동성이 감소 → 단기 자금 조달 여력 축소
- 금융시스템 내 유동성 긴축 신호(단기 금리 상승 가능성)
TGA (Treasury General Account) - 재무부가 연준에 보유한 현금 잔액 증가 → 정부의 현금 보유 확대
- 단기적으로는 정부가 자금을 모아두고 있으므로 시장 유동성은 상대적으로 축소될 수 있음
- TGA 잔액 감소 → 정부 지출 확대나 현금 유입으로 시중에 자금이 풀림
- 정부의 재정 운용을 통한 시장 유동성 증가 효과
RRP (Reverse Repurchase Agreements) - RRP 잔고 증가 → 금융기관이 자금을 연준에 임시로 맡겨 시장에서 유동성이 흡수됨
- 단기 자금이 연준에 묶여 있어 시장 내 여유 자금 감소
- RRP 잔고 감소 → 금융기관이 보유한 자금이 다시 시장에 풀림
- 단기적으로 유동성이 증가하여 단기 금리 안정 또는 하락 효과
기타 부채 (예: 연방준비은행 지폐 등) - 발행된 통화나 기타 부채 항목이 증가 → 시장에 풀린 현금이 많아짐
- 단기적 유동성 확대 신호
- 부채 항목 감소 → 시중에 유통되는 현금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유동성 축소 신호
자본 (Capital: 납입자본, 잉여금) - 자본 증가 → 연준의 재무 건전성과 안정성이 강화되어 신뢰도 상승
- 대차대조표 안정성 강화
- 자본 감소 → 재무 건전성 악화 위험 및 외부 충격에 대한 취약성 증가
- 단, 자본 변동은 일반적으로 정책적 조정보다는 회계적 조정에 가까울 수 있음

종합 정리

  • 자산 측면:
    • 자산이 증가하면 양적 완화 등으로 시중에 유동성이 공급되는 효과가 나타나며, 반대로 자산 축소는 양적 긴축 정책으로 시장의 유동성이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 부채 측면:
    • 부채 항목은 각기 다른 역할을 하므로, 준비금이나 RRP, TGA 등에서의 변화가 금융기관의 유동성 상태나 정부의 재정 운용, 그리고 단기 자금의 흡수/공급에 각각 다른 신호를 보냅니다.
    • 예를 들어, TGA와 RRP는 감소 시 시장에 유동성이 재유입되는 효과를, 준비금은 감소 시 금융기관의 유동성 여력이 축소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