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Price(종가) vs Adjusted Close Price (수정종가)
Financial data는 보통 historical data로 구성됩니다. 여기서 historical data란 historical price 또는 return을 의미합니다.
stock returns을 계산할때는 보통 Close Price (종가)가 아닌 Adjusted Close Price(수정종가)를 활용합니다. Adjusted Close Price란 총 3가지 case로 인하여 주식의 실제 가치가 변함에 따라 가격을 조정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1. Stock Splits (액면분할)
액면분할경우 기업의 전체 시가총액은 동일하지만, price가 낮아지게 되며, 액면분할이후 달라진 가격으로 조정하여 액변분할 전의 주식가격 또한 가격을 조정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2. Dividends ( 배당금)
배당금 또한 투자자들에게 가는 이익금으로 사실상 price가 작아지는 효과를 누리므로, 현재가격을 과거가격에서 배당금을 빼준것으로 조정해줍니다.
3. Right Offerings (유상증자)
유상증자란 주식회사에서 주식을 추가상장, 즉 더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증자’란 ‘자본금을 늘린다’는 뜻이다 (위키백과). 즉 주식을 추가상장하여 기존의 주주들에게 돈을 받고 주식을 팔게된다. 이는 보통 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지게 된다. 유상증자 이후에 떨어지는 가격을 유상증자 이전의 주식들또한 가격을 조정해줌으로써 유상증자 전 후의 가격의 괴리를 줄여주게 된다.
보통 Close Price (종가)의 경우 실제 가격데이터이기 때문에 DataBase를 만들때 저장해두는 정보이며
수익률 계산의 경우 Adjusted Close Price( 수정종가)를 사용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