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학

Portfolio Performance Measures (1) - Return

경희대생 2022. 10. 28. 20:30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포트폴리오 성과 분석 방법에는 크게 5가지 카테고리로 나뉘게 됩니다

1. Return

2. Risk

3. Risk-adjusted return

4. Market risk

5. Downside risk 

 

그중 이번에는 'Return'을 통한 포트폴리오 or 개별종목 성과분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turn 성과분석은 크게 

 

1. Holding Period Return 

2. Annualized Return

 

으로 나뉘게 됩니다. 


[Holding Period Return] 

 

Holding Period Return은 보유한 기간동안의 return입니다. 즉, (단위기간 * T)에 해당하는 기간동안의 return을 나타냅니다.

 

1. 가격이 주어진 경우 

                                     1) dividend를 고려하지 않을 때 

                                      2) dividend를 고려했을 때 ( return을 구할 때 Dvidend를 더해주어야함) 

2. Return이 주어진 경우 : (각 return + 1) 을 곱해준 뒤  1을 빼준다. 

 

* 0~ T holding period, 단위기간들의 Holding period mean return 

                                 1) 복리계산 (Geometric mean) 

                                2) 단리계산 (Arithmetic mean) 

 


[Annaulized Return] 

Holding Period가 다른경우, 포트폴리오 (개별자산) 수익률을 비교하기가 힘들수 있습니다. 특히 Fund나 기관투자의 경우 포티폴리오 수익률을 동일한 period에 대하여 계산하기 위해 연간 수익률로 통일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위해 Annaulized Return이 사용됩니다. 

 

Annualized Return은 holding period return의 초과수익률에 365/days (단위기간이 day인 경우) or 12/months (단위기간이 month인 경우)을 제곱해주고 나온 수익률에서 1일 빼서 구해주게 됩니다. 

 

Annualized Return from Holding Period Return: 

 

아래 링크를 통해 제가 작성한 code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Portfolio Performance - (0) Return, Risk | Kag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