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언급했듯이, 포트폴리오 성과 분석 방법에는 크게 5가지 카테고리로 나뉘게 됩니다
1. Return
2. Risk
3. Risk-adjusted return
4. Market risk
5. Downside risk
이번에는 2번째 'Risk'를 통하여 포트폴리오 성과 분석을 하는 risk 지표들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Risk로 포트폴리오 성과를 보는 것은 총 3가지 (1. Holding&Annualized Period Volatility, 2. Tracking Error, 3.Downside Deviation) 입니다.
[1. Volatility ( Standard Deviation) ]
수익률 표준편차는 가장 흔한 risk 성과 지표 중 하나입니다. 보통 samping data set의 time interval에 해당하는 표준편차 기댓값을 구한 뒤 이후 holding period으로 변환해주던지, 연 표준편차로 환산하여 진행해주는 것이 방법입니다.
[2. Tracking Error]
Tracking Error는 (포트폴리오 수익률 - 벤치마크 수익률) 값들에 대한 표준편차이다. 벤치마크와 포트폴리오 return의 움직임이 비슷할수록 tracking error는 작아지며, 이는 베타 투자에 알맞은 전략이다. Passive Investment 시 tracking error를 측정하여 벤치마크를 포트폴리오가 얼마나 잘 따라가는지를 나타내게 된다.
[3. Downside Deviation]
Downside Deviation은 semi-deviation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오직 나쁜 volatility만을 반영하는 volatility입니다. 여기서 나쁘다는 의미는 포트폴리오 return이 특정 return값 아래로 떨어질때만의 volatility만을 측정하며, min (0, Portfolio return - Return Margin) 값으로 deviation을 측정합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코드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금융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set Dynamics / GBM(Geometric Brownian Motion) (0) | 2023.01.17 |
---|---|
Portfolio Performance Measures (3) - Risk-adjusted Return (2) | 2022.11.10 |
Asset Dynamics - (0) introduction (0) | 2022.10.31 |
Portfolio Performance Measures (1) - Return (0) | 2022.10.28 |
Portfolio Performance Measures (0) - Introduction (0) | 2022.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