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 Pricing Model 일반적으로 개별자산의 기대수익률은 CAPM을 가지고 많이 표현하며, 이는 개별자산의 적정가격예측 및 자산의 고평가, 저평가에 대한 분석까지 이어질 수 있다. CML은 효율적인 포트폴리오의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주식 하나에 투자하는 것은 EF 아래에 존재하는 비효율적인 투자이다. 따라서 CML로는 개별주식의 수익률과 표준편차에 대한 관계를 나타낼 수 없기에 CAPM으로 이 관계를 나타낸다. CAPM은 개별주식이 있다면 개별주식과 Market Portfolio에 나눠서 투자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이 때 두 자산간의 상관계수가 보통 -1에서 1사이 두 자산을 투자하는 포트폴리오는 곡선으로 그려지게 될텐데, 이곡선과 CML의 접점이 Market Portfolio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