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3일, 미국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급격한 하락세를 기록했다.
🔻 주요 지수 하락 현황 📉
- 나스닥 종합지수: 하루 만에 6% 급락
- S&P 500: 2020년 이후 최대 낙폭,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며 조정 국면 진입
-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하락 마감
- 미국 2년물 국채 수익률: 장중 변동성 확대
🛃 관세 정책 핵심 내용
- 트럼프 전 대통령, 특정 국가의 관세율에 상응하거나 초과하는 ‘상호 관세’ 정책 발표
- 대상국은 중국, EU, 북미 국가들로 추정
- 선거 공약 중 하나였던 미국 산업 보호 실천 의지 표명
“불공정 무역 관행에 맞서겠다”는 입장
“놀라운 무언가가 있다면 협상 가능”
“틱톡 매각과 관세 완화 맞교환 가능성” 시사
📦 산업별 영향 및 주요 기업 반응
- 기술주 중심 매도세: 애플, 엔비디아 등 급락
- 산업재·소비재 섹터도 동반 하락
💬 월스트리트 코멘트 요약:
기관주요 분석 내용
JP모건 | 새 관세로 인해 근원 PCE 물가 최대 1.5%p 상승 전망 |
모건스탠리 | 인플레이션 장기화로 첫 금리 인하 시점, 2026년 3월 이후로 예상 |
씨티 | 애플 총이익률 최대 9% 하락 가능성 ONON·나이키는 제품 가격 8~11% 인상 필요 |
피치 | 미국 평균 관세율 22%로 상승, 1910년대 이후 최고 수준 → “글로벌 경제 판도 변화” 평가 |
🌐 무역전쟁 우려 확대
- 중국과 EU, 보복 관세 가능성 시사
- 글로벌 공급망 교란, 기업 비용 상승 전망
- 기술·제약·제조업 직격탄 가능성
📉 시장 및 정책 전망
- 연준(Fed)의 금리 정책 변화 가능성 대두
- 관세발 인플레이션 → 금리 인하 속도 조절 예상
- 시장 전문가들 “정책 완화 여부가 관건”
- 협상 통한 완화 → 반등 가능성
- 보복 확대 시 → 추가 하락 불가피
🧾 요약
-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발표 직후, 미 증시 전반적 급락
- 무역전쟁 우려, 글로벌 공급망 충격 및 물가 상승 가능성 제기
- 기업 실적 하락, 금리 정책 재조정 등 후속 파장 예상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확대 국면 진입
'경제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對중국 관세 125% 인상…미보복국엔 90일 유예” (1) | 2025.04.10 |
---|---|
트럼프의 압박 속 파월 의장의 신중한 대응 (4) | 2025.04.05 |
2025년 3월 19일 주요 금융 뉴스 (1) | 2025.03.19 |
[경제뉴스스크랩] 2023.10.21, 파월 의장 曰 여전히 높은 인플레, 닉 티미라오스 '연준 파월 의장 금리 동결 신호', 美 10년물 국채금리 5% 근접 (0) | 2023.10.22 |
[경제뉴스스크랩] 2023.10.19 미 10년물 국채금리 4.9% 돌파, 미 모기지 수요 1995년래 최저, 미 고용시장 불균형 완화 지속 (0) | 2023.1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