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10년 2

오일쇼크 & 폴 볼커의 기준금리 인상 & 플라자합의 & 아베노믹스

오일쇼크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폴 볼커의 기준금리 인상 - 1980년대 초반, 폴 볼커가 이끄는 연방준비제도 (Fed)는 심각한 인플레이션 문제에 직면해 있었음- 1970년대는 경제적으로 매우 도전적인 시기            1) 두 차례의 오일 쇼크 발생 (1973년, 1979년), 이는 전 세계적으로 유가가 급등하는 결과를 낳았음.               유가의 상승은 물가 인상을 초래, 이는 스태그플레이션 (경제 성장둔화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일어남)으로 이어짐            2) 폴 볼커 연준의장은 이러한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1979년부터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상               -1970년대 후반의 높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 볼커는 고금리 정책을 펼쳐 기준금리..

경제개념 2024.08.31

YCC와 캐리트레이드를 통해 보는 일본시장

"2022년 12월 일본이 YCC 허용폭을 0.5%로 확대" 위의 말이 어떤 뜻이며, 이 문장이 왜 일본 시장 및 글로벌 시장에 중요한지에 대해 알아보자. 日 장기금리 허용폭 0.5%로 확대…사실상 금리인상 | 아주경제 일본은행(BOJ)이 기존의 초완화적 통화정책 기조에서 한발 물러섰다. 기준금리는 기존 마이너스(-) 0.10%로 동결하되 장기금리 상한선을 기존 0.25%에서 0.5%로 인상했다. 사실상 금리인상을 단행한 www.ajunews.com 위의 문장을 해석하기 전에, 먼저 각 국가의 중앙은행이 어떤식으로 금리 및 시장 유동성을 조절하는지 알아야한다. 아래 글을 먼저 읽고 오면 도움이 될 것이다. 2023.04.09 - [경제개념] - 중앙은행의 정책, 기준금리, 은행 예대마진, 화폐수량설 중앙..

경제개념 2023.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