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ME Group의 '미국국채 선물의 기초 이론'을 참조하여 작성했습니다.
가격변화에 의한 수익률 = IRR = 금리변화에 의한 수익률 = 할인율
가령, 이미 매입한 채권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price 100 -> 200 ; 200% = interest rate 5% -> 2.5% ; 200%
채권 매도세 -> 가격이 낮아질 것 = 금리가 올라갈 것
채권 매수세 -> 가격이 올라갈 것 = 금리가 내려갈 것
장기적으로 금리가 어떻게 될지에 대한 예상을 반영하는 것은 선물시장이다.
기준금리변화 -> 시장금리변화 (국채금리변화) -> 중장기적 금리변화 (선물금리시장에 반영)
미국 정부는 주로 고정된 만기의 중장기국채를 발행함으로써 자금을 차입합니다. 예를 들어 2년, 5년, 10년, 30년 만기의 중장기국채를 채권 발행 시점의 시장 실세금리에 의해 결정되는 고정 금리에 발행하는 것입니다.
미국 국채선물과 옵션 계약은 미국 재무부의 지표채권 만기와 동일한 2, 5, 10, 30년물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금리가 오르는 경우?
역사적으로, 경제가 호황일 때 금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 대출 수요 증가 [대출수요가 높다것은, 그만큼 지금보다는 높은 금리로 대출해도 수요가 있을 것을 의미]
- 채권 (안전자산)에서 주식(위험자산)으로의 전환 [예금수요가 낮아진다는 것은, 금융기간이 더 높은 금리를 줘서라도 예금을 모집해야 함을 의미]
-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
대출수요상승 -> 금리상승 견인
예금수요하락 -> 금리상승 견인
금리가 내리는 경우?
마찬가지로 경제가 침체일 때에는 금리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하락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대출 수요 감소
- 주식에서 채권으로의 자산 배분 전환
-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 인하 가능성 증대
선물금리시장 거래예시
1) 한 거래자가 미국 경제가 강세를 보일 것으로 믿고 중기적(5-10년)으로 국채 수익률이 오를 것으로 예상 (금리가 오르고, 채권가격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
2) 거래자는 5년만기 국채 선물 2014년 3월물 10 계약을 120 25/32에 매도.
3) 5년만기 국채 수익률이 상승하고 5년만기 국채 선물 2014년 3월물의 가격이 하락
4) 팔았던 5년만기 국채 선물 2014년 3월물 10계약을 120 03/32에 매수합니다.
이익 : 10 * (120 25/32 – 120 03/32) * $1,000 = $6,875입니다.
'경제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SVB, CS 사태로 보는 채권시장 (코코본드 및 BIS 비율) (1) | 2023.03.30 |
---|---|
금리변화에 따른 자산별 & 시장 움직임 예측 및 전략 (1) | 2023.03.29 |
유상감자, 무상감자 (1) | 2023.03.24 |
주식배당, 무상증자, 유상증자 (2) | 2023.03.24 |
현금배당, 자사주매입 (0) |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