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

[경제뉴스스크랩] 2023.05.01

경희대생 2023. 5. 1. 14:09

<한국>

"코로나 청구서 오는데 2금융권 기업대출 심상찮다" 상호금융 연체율 1년새 2배 이상↑

 

"코로나 청구서 오는데 2금융권 기업대출 심상찮다" 상호금융 연체율 1년새 2배 이상↑

기업의 직접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금융권에서 돈을 빌려 자금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2금융권 모든 업권에서 기업대출 연체율이 1년사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반기 코로나19 중소기

n.news.naver.com

  • 기업의 직접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면서 금융권에서 돈을 빌려 자금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2금융권 모든 업권에서 기업대출 연체율이 1년사이 상승
  • 하반기 코로나19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만기 연장, 원리금 상환 유예 조치가 끝나면 '기업대출 연체율'이 금융안정의 새 리스크가 될 수도 있다는 지적
  • 금통위의 금리인상이 쉽지 않은 이유
  • 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비은행 금융기관(2금융권)의 기업대출 연체율은 2.24%로 전년동기(1.32%) 대비 0.92%p 올랐다. 이는 2016년 1·4분기(2.44%) 이후 6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것이다. 
  • 문제는 기업에 돈을 가장 많이 빌려준 상호금융권의 연체율이 2금융권 중에서 가장 높다는 점이다. 

 

<미국> 

- risk-off 완화: 하원 부채한도 상향 통과

 

 

美하원, 부채한도 상향 위한 법안 통과…"바이든과 협상"(상보) - 연합인포맥스

"공화당 주도 하원, '제한, 절약, 성장 법안' 승인"공화당 주도의 미국 하원이 부채한도 상한을 위한 법안을 승인했다.26일(현지시간) 마켓워치에 따르면 하원은 217대 215로 부채 상한선 법안을 승

news.einfomax.co.kr

 

예상 밖, 호실적에 美 빅테크 랠리 이어질까... "무늬만 깜짝실적"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59057#home

 

예상 밖, 호실적에 美 빅테크 랠리 이어질까... "무늬만 깜짝실적" | 중앙일보

FAANG(페이스북·아마존·애플·넷플릭스·구글)으로 불리는 빅테크 기업들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어닝서프라이즈)을 잇달아 발표하면서다. MS는 올해 1분기 매출이 520억8600만 달러(약 69조

www.joongang.co.kr

  • 미국 증시가 경기침체 우려에서 '반짝' 벗어났다. FAANG(페이스북·아마존·애플·넷플릭스·구글)으로 불리는 빅테크 기업들이 시장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어닝서프라이즈)을 잇달아 발표하면서다. 하지만 빅테크 랠리가 지속하긴 어렵다는 시각도 커지고 있다. 이번 호실적은 지난해부터 이어온 대규모 인원 감축에 따른 '무늬만 어닝서프라이즈'란 분석
  • 빅테크 기업의 잇따른 깜짝 실적이 쏟아지자 나스닥은 지난 27일(현지시간) 2.43% 급등했다. 이달 들어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이날 빅테크 기업 주가들이 고공 행진한 영향이다. 메타 주가는 27일(현지시간) 종가 기준 전날보다 13.93% 급등한 238.56달러로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애플(2.84%), MS(3.20%), 아마존(4.61%), 알파벳(3.75%) 등도 일제히 올랐다.

 

 

<FICC> 

1. 외환시장 

 

- 달러인덱스는 미국 GDP가 예상치를 하회했어도 물가상승 압력 여전하자 상승

 

 

美PCE 상승 잡히지 않는 물가…FOMC 벌써 6월 고민 [글로벌 뉴스픽]

기자가 콕 짚어 전하는 뉴스, 뉴스픽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통화정책을 결정할 때 반영하는 근원 물가 지수 PCE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번 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biz.sbs.co.kr

  • 주말새 발표된 3월 PCE 가격지수가 전년 동월 대비 4.2% 상승
  • 변동성이 큰 에너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가격지수가 4.6% 가 나왔다는 점
  • 연준의 근원물가 목표치 2.0% 보다 한참 높음
  • 연준이 1년간 역대급 긴축에 나섰음에도 미국의 물가가 5% 안팎에서 잘 안 떨어지고 있음
  • 미국 노동부가 같은 날 발표한 1분기 고용비용지수(ECI)도 전분기 대비 1.2% 상승
  • 노동시장이 여전히 과열됐고 개인소득이 줄지 않고 있으며 임금이 상승세를 타는 구조적인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 이에 달러인덱스가 예상치를 하회했어도 여전히 물가상승 압력이 존재 

 

 

- 엔/달러는 BOJ의 완화 정책 고수 전망에 상승. 유로화는 달러 가치 와 연동되며 약세

 

BOJ,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 유지(상보) - 연합인포맥스

*그림*달러-엔 환율[출처: 연합인포맥스] (서울=연합인포맥스) 문정현 기자 = 일본은행(BOJ)이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을 유지했다.일본은행은 9~10일 금융정책결정 회의 후 발표한 성명에서 단기 금

news.einfomax.co.kr

- 구로다 총재의 마지막 정례 회의인 이달 회의에서 '서프라이즈' 행보를 보일 가능성이 있다는 시장 일부의 기대와는 달리 일본은행은 기존 정책을 고수

 

<채권시장>

- 미 국채 10년 금리 전거래일 대비 10.20bp 상승한 3.530%, 2/10 년 금리 스프레드 -49.2bp에서 -56.6bp로 마이너스폭 확대

 

https://m.stock.naver.com/investment/news/ranknews/215/0001098733

 

"이번달 경기침체 시작된다"...BofA가 지적한 美 채권시장 경고음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m.stock.naver.com

  • 28일(현지시간)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BofA는 미국의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 현상이 경기침체를 시사하고 있다며 올해 5월부터 미국 경제가 침체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고 경고
  • BofA는 역사적으로 미국의 2년물과 10년물 국채금리가 역전된 이후 정확히 6개월 후에 경기침체가 시작됐다고 진단했다. 지난 11월에 미국의 장·단기 국채금리가 역전된 것을 감안하면 미국 경제는 이번 달부터 침체 국면에 진입하게 된다.
  • BofA에 따르면 미국의 2년물과 10년물 국채금리는 약 4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역전돼 있다. 특히 지난 3월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 이후 시장에서 은행위기를 둘러싼 경고음이 커지며 미국의 장·단기 국채금리 역전폭은 더욱 벌어진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