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 14

옵션가치계산 : Black–Scholes model

옵션의 가격은 어떻게 계산될까?확률에 따라 변하는 옵션 가치옵션을 구매하는 사람은 옵션을 매입하는 대가로 옵션 발행자(매도자)에게 계약 시점에 옵션 가격만큼 돈을 지불합니다.그렇다면 옵션 매수자와 매도자 모두에게 합리적인 옵션 가격은 얼마일까요?옵션이라는 상품은 기초자산의 미래 상황에 따라, 즉 행사 조건이 충족되는지 여부에 따라 수익이 좌우됩니다.따라서 그 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수익(Payoff) × 확률(Probability)'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기초자산이 주식인 경우, 미래 주식가격의 움직임을 확률분포로 표시할 수 있다면 옵션 가격 계산이 가능해집니다.미래 주가 분포는 어떤 확률분포를 따를까?미래 주가의 분포를 생각해봅시다.현재 가격을 중심으로오르거나 내릴 수 있는 범위가 대..

금융공학 2025.04.28

파생금융상품, feat (파생금융사용설명서, 권오상)

1. 파생금융 (Derivatives)의 기초선물, 옵션에서 구조화금융까지 쉽게 설명한 파생금융의 모든 것선물, 옵션 -> 파생금융소유권이나 예금·대출은 파생금융의 기초 자산이 되고, 여기에 조건을 추가함으로써 파생금융이 만들어지는 것소유권이 시장에서 거래되면 그 가격이 매겨지는데 이는 고정되어 있지 않고 변동하는 특징이 있다.예금·대출을 증권화한 채권(note) 또한 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면서 그 가격이 변동 Prime -> Alt-A -> Subprime 전 세계로 번진 금융 위기는 한국에도 어김없이 들이닥쳤다. 대부분의 시중 은행이 CDO에 손댔는데, 채권 형태로 거래한 액면 금액 19억 달러 중 16억 2천만 달러가 손실로 처리되었고, 신용 부도 스와프(credit default swap, CDS)..

경제동아리 2025.04.25

관세가 금리를 올린다고?

장기금리 급등의 세 가지 메커니즘과 달러 패권의 균열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한 관세 부과 정책은 단순한 무역 카드가 아니었습니다.시장은 그 이후로 장기금리의 급등, 채권시장 불안정, 달러화 신뢰도 하락이라는연쇄적인 구조 변화를 목격하게 되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관세 부과 이후 왜 장기금리가 급등했는지,그리고 글로벌 자금이 왜 달러 외 대체 안전자산으로 움직이기 시작했는지를 설명드립니다.1. 마진콜 & 청산 리스크: 장기채권이 강제로 팔리는 구조관세 부과는 시장에 충격을 주며 금융시장 전반의 변동성을 높였습니다.특히 레버리지를 활용해 장기채권을 보유하고 있던 투자자들은 증거금 부족(Margin Call) 상황에 놓이며보유 채권을 강제 청산하게 됩니다.이 과정에서 장기국채가 시장에 쏟아지면 가격은 급락하고, ..

경제개념 2025.04.17

트럼프는 왜 스테이블코인에 주목할까?

"스테이블코인"부채 압박, 금리, 기축통화, 그리고 약달러 전략의 연결고리 미국의 재정적자와 부채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에 나서면서, 시장은 한 가지 질문에 주목합니다."트럼프는 이 부채를 어떻게 감당하려 할까?""기축통화 달러를 유지하면서도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까?"그 해답은 뜻밖에도 암호화폐 세계, 스테이블코인이라는 디지털 자산 안에 숨어 있습니다.1. 트럼프 정부의 핵심 경제 전략트럼프의 경제 정책은 본질적으로 다음 세 가지 축으로 움직입니다.전략목적① 장기금리 하락 유도낮은 금리로 국채 발행 → 부채 이자 부담 축소②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 유지글로벌 자금의 달러자산 수요 확보③ 수출 둔화 방지강달러의 부작용 차단 → 약달러 유도 병행이 세 가..

경제개념 2025.04.17

금리는 시장의 Key다 – 금리를 통해 시장을 해석하는 법

금리는 시장의 흐름을 읽는 **Key(열쇠)**입니다.환율, 경기, 시황, 원자재, 파생상품 등 시장을 구성하는 거의 모든 요소들이 금리와 맞물려 돌아갑니다.그만큼 금리는 단순한 숫자가 아닌, 수많은 정보를 응축한 시장의 축소판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우리가 뉴스를 보다 보면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연준의 기준금리, 시장금리, 장기금리, 단기금리, 중립금리…용어가 너무 많고, 심지어 동일한 ‘금리’라는 말로 뭉뚱그려 해석되기도 합니다.저 역시 처음엔 그런 혼동을 자주 겪었고, 그로 인해 해석을 잘못한 경험도 있었습니다.그래서 오늘은, 금리의 종류, 그 관계, 그리고 각 금리와 시장 지표가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해석되는지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 인플레이션이 먼저다금리를 해석하려면 먼저 인플레..

경제동아리 2025.04.14

한화 채권 김성수, FI Traiff_트럼프 매뉴얼 보고서 정리

“관세는 무기다. 트럼프는 그 무기를 경제, 환율, 안보라는 전선에서 동시에 겨누고 있다.”트럼프의 관세+약달러 전략, 미국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미국이 정말 원하는 건 무역보호일까?4월 초,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일부 국가에 대해 90일간 관세 유예 조치를 발표하자마자 금융시장은 급반응했다.주식시장은 반등했고, 장기 국채 금리는 일시적으로 하락했다. 하지만 이건 단순한 '무역 이슈' 그 이상이다.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달러, 금리, 안보까지 연결된 복합적 전략의 일환이다.그는 무역적자 해소뿐 아니라 미국의 경제 시스템 전체를 재설계하고자 한다. 그런데, 대체 왜 지금일까? 💵 미국이 느끼는 ‘불공정’의 정체트럼프 진영은 다음과 같은 문제의식을 공유한다:문제설명달러 강세기축통화 지위로 인..

증권사 보고서 2025.04.10

트럼프, “對중국 관세 125% 인상…미보복국엔 90일 유예”

-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 관세에 보복하지 않은 국가들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한다고 밝혔다.   - 이들 국가에 대해 상호 관세율도 10%로 인하하며, 두 조치는 즉시 발효된다고 강조했다.   - 반면 중국에는 기존보다 강화된 125%의 관세를 즉시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 그는 중국의 ‘착취적 행보’를 더는 용납할 수 없다며 강경한 입장을 나타냈다.   - 이 소식 이후 비트코인 가격은 5% 넘게 급등해 8만1200달러를 돌파했다.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4101811B 트럼프 "美 관세 미보복 국가 90일 상호관세 유예…對중국 관세 125%로 인상"트럼프 "美 관세 미보복 국가 90일 상호관세 유예…對중국 관세 125%로 인상", 뉴스www.h..

경제뉴스 2025.04.10

“달러는 왜 항상 중심에 있는가? 약해도 강하고, 밀려도 중심을 지키는 미국 통화전략의 비밀”

“달러는 왜 항상 중심에 있는가? 약해도 강하고, 밀려도 중심을 지키는 미국 통화전략의 비밀”브레튼우즈부터 스테이블코인까지, 미국이 세계 경제 패권을 유지하는 고도의 메커니즘. 🌐 미국은 왜 달러를 약하게 만들면서도 패권을 지키려 할까?“미국은 때때로 약달러를 의도적으로 유도하면서도,달러의 기축통화로서의 힘은 철저히 설계된 구조로 유지한다.”페트로달러, 유로달러, 오일머니, 그리고 최근의 스테이블코인까지—이 모든 시스템은 달러가 약세를 보이더라도 세계가 여전히 달러를 필요로 하도록 만드는 구조적 장치다.이러한 구조 덕분에 달러는 실물가치보다 높은 신뢰를 유지하고,미국은 국내 경기와 무역 수지를 조절하면서도, 달러 패권이라는 글로벌 툴을 잃지 않는 이중 전략을 펼칠 수 있게 되었다.이는 단순한 통화 운용..

경제개념 2025.04.10

트럼프의 압박 속 파월 의장의 신중한 대응

2025년 4월 4일(미국 현지시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의 공식 발언이 발표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연준에 금리 인하를 강하게 촉구한 가운데, 파월 의장은 정치적 압박보다는 연준의 본연의 책무에 집중하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습니다.트럼프의 금리 인하 요구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지금이야말로 금리를 인하할 완벽한 시기”라고 주장하며 파월 의장을 직접 압박했습니다. 그는 에너지 가격, 인플레이션, 금리, 심지어 계란 가격까지 하락하고, 일자리 수가 증가하고 있는 현 상황을 **"미국의 승리"**라고 평가하며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남겼습니다:“금리를 인하하세요, 제롬, 그리고 정치를 그만두세요!”이는 금리 인하를 정치적으로도 활용하려는 의도로 해석되고 있으며, 향후 대..

경제뉴스 2025.04.05

나스닥 6% 급락… 트럼프 관세 발표 이후 증시 대혼란

2025년 4월 3일, 미국 증시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발표 직후 급격한 하락세를 기록했다. 🔻 주요 지수 하락 현황 📉 나스닥 종합지수: 하루 만에 6% 급락S&P 500: 2020년 이후 최대 낙폭, 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하며 조정 국면 진입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하락 마감미국 2년물 국채 수익률: 장중 변동성 확대 🛃 관세 정책 핵심 내용트럼프 전 대통령, 특정 국가의 관세율에 상응하거나 초과하는 ‘상호 관세’ 정책 발표대상국은 중국, EU, 북미 국가들로 추정선거 공약 중 하나였던 미국 산업 보호 실천 의지 표명“불공정 무역 관행에 맞서겠다”는 입장“놀라운 무언가가 있다면 협상 가능”“틱톡 매각과 관세 완화 맞교환 가능성” 시사📦 산업별 영향 및 주요 기업 반응기술주..

경제뉴스 2025.04.04